7월 29일 중국 철강 시장은 주로 상승세를 보이면서, 시장 전체가 빨갛게 (상승) 달아 올랐다. 그동안 많이 오른 상해 광주 천지의 열연 만 20위안 정도 빠지고 나머지 모든 제품, 모든 지역에서 강한 상승세를 보여 주고 있다. 거래는 일부 지역의 현물가격이 상승 후 소폭 완화되는 모습을 보였고, 시장 전반의 거래실적은 전일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철근 (20mm 3급 내진) 4,187위안/톤, 37위안/톤 상승
열연 (4.75mm) 3,982위안/톤, 25위안/톤 상승
냉연 (1.0mm) 4,470위안/톤, 35위안/톤 상승
후판(20mm) 4,256위안/톤, 20위안/톤 상승
Tangshan Qian'an의 빌렛은 3,630위안/톤으로 안정적이었다. 16개 제철소가 건설용 철강 가격을 톤당 20~120위안 인상했다.
선물도 전반적 상승세이다.
철근 3996위안 0.63% 상승
열연 3969위안 0.71% 상승
철광석 782위안 1.82% 상승
코크스 2822위안 1.82% 상승
석탄 2133.5위안 3.32% 상승
참고로, 어제 기준 철근, 열연이 각각 4058위안, 4019위안으로 마감했는데, 오늘 3900위안대로 내려 앉았는데, 상승으로 표시된 것은 중국 선물 시장의 독특한 가격 표시 방법 때문이다. 보통 주식 시장에서는 전일 마감 가격을 다음 날 시가로 설정해서 장을 열지만, 중국 철강 선물 시장에서는 결산가라는 가격을 매일 장 마감후 발표를 한다.
결산가는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아마도 그날 거래액과 거래량을 가중평균하여 산출하는 듯 하다. 그래서 어제 열연 기준으로 4019위안으로 마감했어도 결산가는 3941위안이다. 3941위안이 오늘 시작가가 되며 이를 기준으로 3969 마감되면서 58위안 올라 0.71% 상승으로 표시된다, 오늘 열연 마감 가격은 3969위안이며, 열연 결산가는 3988위안이다.
단기적으로는 최근 현물 가격이 너무 빠르게 상승하여 다운스트림 구매 둔화, 수요 지속 가능성 약화, 가격 지원 약화로 이어졌다. 동시에 최근 제철소의 생산 재개가 불명확하고 철광석의 지속적인 상승이 불충분하다. 또 5차 코크스 승격과 하락은 완제품에 어느 정도 부정적인 피드백을 가져 올 수 있다.
선물 시장은 전체적으로 상승세를 보였고 대부분의 시장에서 현물 가격이 소폭 상승했다. 열연 시장 호가는 꾸준히 오른 반면, 시장 거래는 나빴다. 전반적으로 현재 핫 코일 다운 스트림의 전체 구매량이 예상보다 적고 다운 스트림이 더 신중하여 전체 상인 출하량은 평균이지만 이번 주 투기 수요가 보이면서 바닥을 치는 징후를 나타낸다.
현재 냉연 시장 수요는 보통이다. 현재 냉연의 전체 재고 압력은 여전히 상대적으로 크고 시장 자원은 충분한 편이다. 수요 측면에서 전방산업은 회복세가 더디고 8월 수주액이 전월대비 증가했다.
현물 시장의 거래 분위기가 개선되었으며 유통상들이 가격을 인상하려 한다. 최근 가격이 소폭 반등하면서 다운스트림 수요를 자극했다. 제철소의 경우 원가 하락으로 이익 회복을 보여 자원 수급 실적이 양호하다. 이번 주 가동률은 81.54%로 전주와 변동이 없었고, 제철소 가동률은 88.81 %, 전주 대비 0.12% 상승했다.
철강 시황의 지속적인 약세 때문에 최근의 반등에도 불구하고 유통상들의 전반적인 신뢰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전국 45개 주요 시장의 스크랩 평균 가격은 2,401위안/톤으로 전 거래일보다 39위안/톤 올랐다.
특히장 선물의 상승세 지속으로 현물가격 상승과 낙관론이 지속되고 있다. 상품 공급의 치열한 경쟁 외에도 일부 현장의 구매 가격이 제철소보다 높으며 스크랩 공급이 심각하게 줄어들어 공급 시장의 물량이 한정되어 있고, 야드와 제철소에서 상품을 받기가 더 어려워졌다.
전기로플랜트의 경우 이익 회복으로 생산 의지가 강해지고 스크랩 수요가 증가했지만 일부 롱제품 철강업체는 여전히 적자를 내고 있으며 시장 전망도 낙관적이지 않다.
5차 코크스 가격 인하가 전면 시행되어 누적 하락폭은 1100-1220 위안/톤이다. 일부 상인은 적당히 상품을 구매하기 시작했고, 전반적으로 감정이 좋아졌다. 이번 주에 4개의 고로가 설비 보수로 하루 7,400톤의 용선이 감소했다.
산둥성 수입 철광석 현물 시장 가격이 약세이다. Shandong 칭다오항 PB 분광은 780위안 수준이다.
철강 시장 전망
이번 주 247개 제철소의 고로 가동률이 79.30%로 전월 대비 2.10% 감소했다. 제철소 수익성은 19.05%로 전월 대비 9.09% 증가했다. 전국 85개 독립 EAF 제철소 가동율은 37.60%로 전월 대비 4.21% 증가했다.
가동율 증가의 주요 요인은 완제품의 가격이 점차 상승하고 철근 - 스크랩 간의 격차가 확대되고 제조업체의 손실이 개선되었다는 것이다. 일부 철강업체는 점진적으로 작업을 재개하거나 약간의 생산을 증가하므로 가동률이 계속 상승했다.
다음 주 상황으로 볼 때 완제품 가격이 상대적으로 강하고 전기로 기업의 생산 열정이 높아질 것이다. 다음 주에는 독립 전기로 공장의 가동률과 가동률이 계속 상승 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철소의 급격한 생산량 감소로 인해 지난 2주 동안 재고가 많이 감소했으며 수급 펀더멘털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면서 철강 시장 가격이 반등을 경험했다.
제철소의 이익이 개선됐지만 표본 기업의 약 80%는 여전히 적자를 내고 있으며 일부 고로와 전기로가 생산을 재개하더라도 전체 공급이 크게 반등하기 어렵다.
비수기 철강 수요 회복력이 부족해 '부동산 시장 안정'이 최우선 과제로 떠올랐지만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다. 수요 회복은 느리고 불안정하다.
전반적으로 철강 시장의 수급 펀더멘털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면서 시장의 신뢰가 점차 안정되고 있다. 단기 철강 가격이 반등할 수 있지만 수요 회복에 대한 저항은 여전히 존재한다. 공급도 회복하려 하기 때문에, 시장의 긍정심리가 커지는 가운데서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철강정보원에 게재된 원본 및 재인용 내용은 의사 결정을 위한 제안이 아닌 참고용입니다. 원본 내용의 저작권은 철강정보원 및 원저자에 있으며, 재인용 시에는 철강정보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또한 일부 재인용된 내용은 더 많은 정보의 전달과 철강 지식의 확산, 의사 소통의 원활함을 위한 것입니다. 철강정보원은 모든 인용의 견해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며, 내용의 정확성과 무결성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부주의로 저작권을 위반한 경우 연락 바랍니다. 확인 후 저작권 소유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관련 콘텐츠를 즉시 수정 또는 삭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