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포스코 열연 가격 인상 분석
  • 김규성
  • 등록 2024-05-07 11:45:58
  • 수정 2024-05-08 04:30:12

기사수정
현재 한국 철강 시장, 특히 포스코의 상황은 외부 시장의 압력과 내부 생산 비용으로 인해 다소 혼합된, 그러나 도전적인 상황을 맞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동향에 따르면, 포스코는 2024년 5월부터 열연 제품의 가격을 톤당 50,000원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가격 조정은 원자재 비용 상승과 환율 변동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

회원(무료) 기사입니다. 회원 가입하시면 기사 전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회원가입 안내
  • 철강정보원 상단우측 회원가입
  • 연락처와 메일주소를 기입하면 알림톡(수시)과 뉴스레터(매일) 송부
  • 주소로 정기 간행물 등 송부 (추후)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1. [특집] 중국의 새로운 도시화가 철강 소비를 촉진하다 중국 재정부는 주요 국가 전략을 지원하고 핵심 분야에서의 보안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20년, 30년, 50년 만기의 초장기 특별 국채를 발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Mysteel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국채는 여덟 개 부문에 걸친 이니셔티브를 지원할 것이며, 그 중 하나는 새로운 도시화 촉진이다.2024년 5월 17일, 중국은 30년 만기의 초장기 특..
  2. [초점] 재고 압박으로 인한 중국 냉연코일 가격의 침체 2024년 5월을 되돌아보면, 중국 주요 도시에서 냉연코일(CRC)의 가격 변동은 톤당 100위안 이내였다. 현물 가격의 변동이 너무 작아 시장은 활기를 잃었으며, 거래량도 4월에 비해 어느 정도 감소했다. 이는 노동절 휴일로 인한 근무일수 감소와 시장 거래 분위기의 부진 때문이다. 현재 철강 업체들이 높은 공급을 유지하는 상황에서, 시장의 재.
  3. [특집] 2024년 중국 철강 생산 통제 정책 지속 최근 중국 철강 산업의 상황은 급격한 변화와 불확실성으로 가득 차 있다. 중국 정부의 철강 생산 통제 정책은 전 세계 철강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를 통해 탄소 배출을 줄이고 환경을 보호하려는 중국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2024년에도 중국의 철강 생산 통제 정책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여러 철강 전문.
  4. [특집] 인도, 철강 생산 증가로 스크랩 경쟁 심화 예상 인도의 철강 스크랩 수입량이 2024-25 회계연도(FY'25:24.4-25.3)에 약 30% 이상 감소해 약 7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난 회계연도의 1,000만 톤 대비 큰 폭의 감소다. 분석에 따르면 이는 고철 및 직접환원철(DRI) 생산 증가 때문으로 나타났다.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고철을 원료로 사용하는 비율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FY'24에 비...
  5. [초점] 미얀마의 철강 수요 증가와 수입 제한 미얀마의 건설용 철강 수요가 공공 및 민간 건설 활동과 함께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철강 생산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수입 제한이 철강 소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최근 베트남에서 열린 동남아시아 철강협회 회의에서 이해했다.도로 및 교량을 포함한 공공 인프라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건설부와 전력부는 이러한 프로젝.
  6. [특집] MENA 철강 컨퍼런스 보고서: 2024년 지역 철강 소비 전망 5월 20-21일 무스카트에서 열린 MENA 철강 컨퍼런스에서는 2024년 지역 철강 소비의 증가가 예상된다고 강조했습니다. 글로벌 경제 및 지정학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MENA 지역은 건설 산업을 주축으로 한 강력한 소비 전망 덕분에 철강 시장에서 매력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철강 소비 동향2023년 성과: MENA 지역의 철강 소비는 2.2% 감소하.
  7. [분석] 2024년 1분기 글로벌 철광석 분석 2024년 1분기 동안 전 세계 해상 철광석 무역은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한 3억 7600만 톤을 기록하며 안정세를 보였다. 빅민트(BigMint)의 데이터에 따르면, 주요 5개 수출국의 철광석 수출량은 3억 3200만 톤으로 4% 증가했다. 하지만, 호주가 악천후로 인해 약간의 어려움을 겪었다.주요 수출국 현황호주는 전체 해상 무역에서 54%를 차지하며 2억 3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